본문 바로가기
인사조직관리

인적자원개발(HRD) 이론적 기초 중 체제이론

by hi-kku 2024. 3. 16.

인적자원개발(HRD) 이론적 기초 중 체제이론 관련하여

체제이론의 필요성

체제이론의 필요성에 대해서 인적자원개발(HRD) 영역에서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의 도구로 체제적 사고(systems thinking)는 중요한 개념이다. 미국 SCANS(The Secretary of Labor's Commission on Achieving Necessary skills) 보고서에 따르면 체제적 사고는 학교 및 산업체 훈련과정에 중요한 문제해결 능력으로 평가된다. 미국 클링턴 정부 당시에 노동부 장관이었던 Reich 교수는 미래 직업군을 생산직 근로자, 대인서비스 근로자, 상징 분석가로 분류하였는데, 이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미래 직업군으로 상징 분석가를 꼽았다. 해당 직업군을 문제 규정자, 문제 해결자, 전략적 매개자 그룹으로 분류했는데 이들의 전문적 활동에 필수적인 역량으로 체제적 사고를 꼽았다.

 

인적자원개발(HRD) 전문가가 핵심적인 미래 직업군인 '상징분석가' 그룹에 속하려면 체제적 사고 역량을 보유하여야 한다. 조직은 체제, 즉 시스템(System)이고, 체제는 요소의 집합체를 의미하고 체제에서 개개인의 수행은 모든 부분의 영향을 받고, 어떤 부분이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면 적어도 다른 한 부분 기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만일 컨베이어 시스템에 놓여있는 생산물과 같이, 주어진 단계를 단순히 수행하는 체계적 접근을 한다면, 양질의 교수설계된 결과물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런 접근방식에선 과제를 작은 작업 단위를 세분화한 다음 선형적 계열을 만드는 일정한 활동에 종사하는 것이 주된 업무가 된다. 따라서 분석적 사고가 중요한 능력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어떤 기업에서는 체제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그들은 교수설계라는 말과 함께 교육설계라는 확장 용어를 사용한다. 이런 접근 방식은 교육 설계가 더 넓은 사회체재의 니즈와 그 니즈에 부응하는 가치와 동조성을 중요시한다. 다른 말로는 교수설계자는 전체적 사고와 종합적 사고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체제적인 접근과 체계적 접근은 인적자원개발(HRD) 전문가를 위해 모두 필요하다. 체제적 접근법은 교수체제와 환경 간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관계를 이해하는데 건전한 토대를 제공하고, 체계적 접근법은 실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절차적 문제해결과정을 제공한다.

 

체제적과 체계적 정의

사전적 용어 정의에 따르면 체제성이란 용어는 전체로서의 구조이며, 특별한 체제에 결부되고, 지역성 구별되는 의미고, 체계성이랑 순차적인 계획, 시스템 조작하거나 관여하는 행위, 분류 및 절차 의미가 포함된다. 각 용어 정의를 보면 체제성은 전체로서의 구조이고, 체계성은 순차적인 계획을 의미하는 차이가 있지만 시스템이라는 동일한 용어에서 파생된 공통점이 있다. 때때로 두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체계성이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체제적 접근과 체계적 접근의 차이에 관한 설명

  • 하드 시스템과 소프트 시스템에 근거한 차이
    하드 시스템 사고는 문제해결과제는 이미 알고 있고, 정의된 결과를 얻는 효과적 수단을 선택과 관련 있고, 소프트 시스템 사고는 고전적 연구, 시스템적 분석, 시스템 공학 등을 포함한다. 과제별로 어떤 것은 체계적 접근에 적합한 것(하드 시스템, 절차적인 지식 등)이 있고, 또 다른 과제는 체제적 접근(원리, 소프트 시스템 등)이 있을 수 있다. 두 가지 접근 방법을 모두 필요로 하는 복합적인 경우도 많다.
    시스템 공학에서 출발한 체계적 접근방법은 군사훈련용 매체 개발을 위해 교수 체제 설계로 응용되었고, 하드 시스템 사고가 교수 설계에서 우세하다. Saettler는 하드 시스템 전통에 기반한 시스템 접근이 교육 설계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실질적인지 이야기했는데, 교육목적 및 목표 정의가 되었는지 다양한 대안책 분석이 있는지, 교육자원은 확인했는지, 행동계획이 고안되었는지, 프로그램 수정보완을 위해 결과가 지속관리하였다. Saettler가 제시한 교수설계의 결과는 미리 결정된 단계(체계적 접근)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체제적 사고는 복잡한 현실에서 문제를 다루는 '과정의 역학'을 교수설계 분야에 제공한다. 소프트 시스템 사고에 근거한 이 개발은 사회적 과정(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생산적인 교수설계팀으로 변화하는 등)으로 실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접근방법은 관계당사자들(교수설계자, 프로그래머, 각 전문가 등) 간의 협력적이고 조화를 추구하는 행동으로 표현할 수 있다. 대부분 교수설계가 다루려는 과제상황의 문제 상황을 한꺼번에 명확히 이해할 수는 없다. 교수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대 및 요구사항,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연한 문제해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순환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취할 수가 있기에 교수설계자는 체제적 사고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선별적인 관점에 따른 차이
    교수설계자는 설계 과정 중에 각각의 여러 문제상황에 적합한 최적의 문제해결 방안을 선별할 수 있는 안목을 소지하는 실용주의적 관점을 지향한다면, 보다 생산적인 교수설계를 할 수 있다. 교수설계는 당면해 있는 여러 종류의 과제에 적합한 사고방식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수학 문제를 풀 때 어떤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수학 공식 중에 적합한 공식을 선별하여 이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더욱 복잡한 문제 또는 과제를 접했을 때, 단순히 문제해결 시에 사용한 것과는 다른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다만, 시스템적 사고측면에서는 선별적 관점이 미완성적인데, 시스템적인 사고는 상반된 아이디어를 모두 수용하는 방식을 지향하지만, 선별적 관점은 체계적 접근과 체제적 접근 사이 연결성에 대해 설명을 못하기 때문이다.

이중구조 교수체제

  • 인적자원개발(HRD) 교수설계에서는 체제적, 체계적 접근의 통합모형으로 이중구조 교수 체제가 필요한데, 이중구조 교수 체제모형에서는 두 접근법이 상충되는 방법이 아니다. 각각의 사고 유형은 해당 모형에서 제각기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되고, 다양한 교수 학습적 방법을 통합하는 순환적 복합사고 모델이다. 따라서 해당 모델은 교수설계자가 어떤 문제에 처할 때마다 적합한 교수적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두 보완적 지식 기반을 제공하기도 한다.  
  • 이중구조 체제 접근의 이점으로는 첫째, 체제적 접근과 체계적 접근을 통합했기에 각각의 접근사이 혼동을 제거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이론과 실제 사이 차이를 보완할 수 있다. 실무자와 이론가가 통합되는 반성적인 실무자의 역할을 지향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체계적 사고에 근거한 이해 수준으로 체계적 사고에 의한 실제 행동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세 번째는 교수설계가 체계적 사고와 체제적 사고 그리고 두 가지 사고 형태의 연관성을 이해할 수가 있다. 과제가 복잡하다면, 설계자는 체제적 사고를 활성화해서 전체 구조 및 과정을 이해하고 난 다음, 또 다른 체계적 사고를 활성화하여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 이는 연관적 특성에 기반한 두 가지 사고방식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 사고의 핵심적 원리를 교수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보다 넓은 사회 맥락에서 교수 설계 능력과 여러 문제에 체계적으로 설계안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체제이론
체제이론